분산 이동컴퓨팅 연구실

Introduction  |  Members  |  Research  |  Publications  |  Patents  |  Standards  |  Programs  

  2021 - 2025
  2016 - 2020
  2011 - 2015
  2006 - 2010
  2001 - 2005
  1996 - 2000
  DDS 기반 통신 성능 분석
  EchoDDS
  SyncML
  JINI
  WIPI
  AIMOL
■ 영상 전송을 위한 인코딩 및 통신 방식 비교 연구


개요

본 연구에서는 영상 인코딩 방식과 통신 구조가 전송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소켓 기반(TCP/UDP) 구조는 고해상도 영상 전송 시 대역폭 부담, 지연 확산, 패킷 손실, 확장성 부족 등의 한계를 보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DDS(Data Distribution Service)**를 적용하여 Publish–Subscribe 구조와 QoS 제어 기능을 활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H.264, H.265, JPEG, AV1, H.264 Intra-only 등 다양한 코덱과 청크·프레임 단위 전송을 포함한 실험을 통해 실시간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최적 조합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

● 인코딩 방식별 성능 비교 (H.264, H.265, JPEG, AV1 등)
● 소켓 vs DDS 통신 구조 성능 분석 (1:1, 1:N 환경)
● 청크 단위 vs 프레임 단위 전송 성능 비교
● DDS QoS 정책이 지연·신뢰성·확장성에 미치는 효과 검증

실험 환경

● 송신자(Publisher): Intel Core i7-12700F, 32GB RAM, NVIDIA GTX 1660 SUPER, Windows 11 Pro
● 수신자(Subscriber): Intel Core i5-1135G7, 32GB RAM, Intel Iris Xe, Windows 11 Pro
● 네트워크: 동일 LAN, 1Gbps 유선 이더넷, 외부 트래픽 없음
● 소프트웨어: Python 3.12, RTI Connext DDS 7.3.0, QoS 프로파일 적용(History=KEEP_LAST, depth=1)
● 영상 데이터: 1920×1080, 30fps, 총 205초(약 486MB)

연구 결과

1:1 통신

● 소켓 기반: H.264 평균 36.33초, AV1 239.8초 → AV1은 실시간 전송에 부적합하다.
● DDS 기반: H.264 평균 28.21초로 소켓 대비 약 20~30% 단축되었다.
● 청크 전송: 소켓 19.23초 vs DDS 23.72초 → 소켓이 빠르지만 DDS는 안정적이였다.
● 프레임 전송: DDS(41.17초)가 소켓(53.53초)보다 효율적이였다.


1:N 통신 (수신자 1~20 증가)

● 소켓 기반: 수신자 수 증가에 따라 지연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예: H.264 36초 → 389초, AV1 240초 → 3477초).
● DDS 기반: 수신자 증가에도 지연 시간 거의 일정했다. (예: H.264 28초 → 29초, AV1 252초 → 263초).


활용 분야

● 실시간 CCTV/ITS 도로 감시 시스템
● 대규모 IoT 센서 네트워크 통신 최적화
● 자율주행차 V2X 통신 및 군사/항공 미션 데이터 전송

관련 문서

정현제, 최훈, "도로 상황감시 시스템에서의 DDS 적용성 연구", 기술문서(TD), 2025.8.29

 분산 이동컴퓨팅 연구실
Mobile Distributed Computing Lab,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99, Daehak-ro, Yuseong-gu, Daejeon, 34134, Korea(Tel)042-821-7726 (Fax)042-822-4997